* version 0.18 (2007/01/14) *

AUTHOR : Karnes Kim
LICENSE : public domain.

FILES :
  oblivoir.cls
  hfontsel.sty
  10_5.sty
  fapapersize.sty
  ob-koreanappendix.sty
  ob-nokoreanappendix.sty

DOCS :
  testb.tex
  simplewriting.tex
  fnttst.tex
  about_oblivoir.tex (written by Progress)
  apptest.tex
  whyob.tex
  pagesizetest.tex

=======================
oblivoir.cls
 memoir 클래스를 article처럼 사용하도록 하는 클래스.
 한글화 설정이 미리 되어 있으므로,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다.
 이전 이름은 fakearticle.cls

옵션들:
 [nokorean]
 : smcho 님이 요청하셔서 만든 영문용. 한글을 사용하지 않음.
 [twoside]
 : twoside
 [openright]
 [kosection]
 : 절 표제항의 한글화. 
 : TIP. [kosection]한 다음 다시 \kscntformat{section}{}{} 하면, 
 section number가 두 자리 기준 오른쪽 정렬되지 않게 된다.
 [nobookmarks]
 : 북마크 만들지 않음
 [dvips]
 : dvips 작업용 옵션. 기본 글꼴이 utbt로 바뀜. 
 : 참고로, [dvips] 옵션 없이 pdflatex 컴파일해도 기본 글꼴은 utbt.
 [10.5pt]
 : synapse 님의 요청으로 만든 본문 글꼴 크기 조절.
 : 판면은 10pt의 것을 그대로 따름.
 [romanfixed]
 : 10.5 옵션 사용시 영문 글꼴 크기 고정.
 [showtrims]
 : memoir 옵션이지만 trim mark를 그리려면 지정해야 한다. 이 옵션을
 : 지정한 후에 fapapersize 스타일을 로드할 것.
 [footnote]
 : 기본 각주 모양을 article의 것으로 교체함. 이전의 한국식 각주를
 : 사용하려면 이 옵션을 쓴다.
 [tocentry] (ver0.14)
 : toc, lof, lot를 section보다 한 수준 위에서 bookmarks를 만든다.
 : chapter가 있는 경우에 이용함.
 [itemph] (ver0.14)
 : 강조를 graphic 글꼴 대체하지 않고 기울임.
 기타 옵션
 : memoir 옵션 사용.

디폴트:
 oneside, openany, kosection false, pdfbookmark, 10pt, gremph, romanfixed false 임.

<11/24>
 현범석 님이 요청하신 부록 관련 설정 추가.
 조명철 교수께서 지적하신 maxtocdepth 기본값 수정.

부록 관련 추가 매크로
 \appref : 부록~A 등으로 참조.
 \AppendixTitle : \appendix 명령 직후에 선언하면 <부록>이라는 표제를 찍어줌.
 \AppendixTitleToToc : 부록 표제를 toc에.
 \AttachAppendixTitleToSecnum : 절 항번에 "부록"이라는 말을 붙임.

<12/06>
[nokorean] 옵션에서도 유사하게 동작함.

======================
hfontsel.sty
 한글 폰트 선택 명령 \SelectHfonts 명령을 쓸 수 있음. 인자는 두 개,
 첫번째는 한글 폰트, 두번째는 한자 폰트. 두번째 인자에는 {*}만을 쓸 
 수 있으나 첫번째 인자는 {a,b,c} 세 부분을 쉼표로 분리하여 폰트를
 지정함. 다만, a/b/c 각 부분에 *를 쓸 수 있음. 즉,

\SelectHfonts{a,b,c}{a,b,c} <= full setting
\SelectHfonts{a,b,c}{*}     <= 두번째 인자는 첫번째와 동일
\SelectHfonts{a,*,*}{*}     <= 한글 rm 폰트만 교체함. 나머지는 default.
\SelectHfonts{a,*,*}{b,*,*} <= 한글과 한자 rm 폰트를 별도로 지정. 나머지는 default.

옵션:
 [ps] : 기본 폰트를 은글꼴이 아니라 Unfonts-type1(ut**)으로 바꿈.

예컨대, \usepackage[ps]{hfontsel} 이후에,
\SelectHfonts{mhmj,*,*}{*} 
이렇게 지정하면, 결과는 다음과 같음
 한글 rm : mhmj
 한글 sf : utgt
 한글 tz : uttz
 한자 rm : utgt
 한자 sf : utgt
 한자 tz : utgt

pdfLaTeX의 경우 ps 폰트를 쓰는 것이 좋다. 이럴 경우의 예시 코드는,
\ifpdf
 \usepackage[ps]{hfontsel}
\else
 \usepackage{hfontsel}
\fi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10_5.sty
 [10.5pt] 옵션에서 사용하는 폰트 크기 설정 스타일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fapapersize
  옵션
   dbl4x6 : 사륙배판
   mum : 국판
   newmum : 신국판
  옵션 없이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으나 페이지 설정 명령 
\usefapapersize 명령을 쓸 수 있음. 예.
\usefapapersize{,,,,,}
 1,2,4,6 번째 인자는 *를 쓸 수 있음.
 3,5 번째 인자는 반드시 지정해야 함.
이 명령과 옵션이 같이 쓰이면 옵션이 사용됨.
oblivoir 클래스에 종이 크기를 설정하면서 showtrims 옵션을 주면
trim mark를 그려줌.

11/24
 [stock] 옵션 추가.
\usefastocksize{200mm,100mm}와 같이 쓸 수 있음. [stock] 옵션이 주어지지 않으면 이
명령은 무시됨.

 header/footer 길이를 좀더 유연하게. 5mm 정도까지는 에러를 내지 않도록 함.
5mm보다 작아지면 memoir 에러메시지 보임.

 페이지 사이즈 설정 예제 pagesizetest.tex 추가.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예제 문서.
 testb.tex
 simplewriting.tex
 fnttst.tex
 pagesizetest.tex

문서.
 about_oblivoir.tex
   이주호(Progress) 님이 쓰신 소개 문서.

기타.
 README-0.18 (this file)

End of File.